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부산,대구,울산,경상도

傳구형왕릉,남사예담촌 (산청 5.12)

by lkc226 2008. 5. 12.

   5.12 공휴일을 맞아  이색적인 체험을 하러 새벽부터 나섰다.

 

체험! 삶의 현장   딸기 따기  ( 산청군 단성면 )   주선한 주집사님  딸기가 없을까봐 얼마나 가슴졸이셨습니까?

 오전 7시 현장 도착 설레는 마음으로 하우스로

 

 

 

 

 

 

 

 

 

 

  

 

 

 

 

 

 땀흘린 후의 맛있는 식사 (반찬이 필요없음)  

 

역사의 고장 돌아보기   남사예담촌  (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  

 

   행정구역상으로 볼 때 청계를 가운데 두고 남사는 진주에, 상사는 단성에 속하였는데 그때 두 마을의 명칭이 같은 사월리였다고 한다. 1906년에 와서 진주의 사월면이 산청군으로 편입되면서 남사도 단성군 사월면으로 산청에 속하게 되었다가 다시 1914년에 단성군이 단성면으로 격하되어 산청군에 통합될 때 두 마을은 단성면에 속한 남사마을과 상사마을로 분리되었다.

  남사마을에서는 수많은 선비들이 태어나 서당에서 공부하여 많은 수가 과거에 급제하여 가문은 빛내던 학문의 고장으로, 공자가 탄생하였던 니구산과 사수를 이곳 지명에 비유할 만큼 예로부터 학문을 숭상하는 마을로 유명하다. 그 이름의 변용은 사양정사, 니사재, 이동서당 등의 서재 명칭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풍경

 

  

 

 디딜방아

 

역사의 고장 돌아보기   전구형왕릉 (傳仇衡王陵  ) (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   

 

  이 무덤을 둘러싸고 석탑이라는 설과 왕릉이라는 2가지 설이 있었다. 이것을 탑으로 보는 이유는 이와 비슷한 것이 안동과 의성지방에 분포하고 있는데 근거를 두고 있다. 왕릉이라는 근거는 『동국여지승람』, 『산음현 산천조』에 ‘현의 40리 산중에 돌로 쌓은 구룡이 있는데 4면에 모두 층급이 있고 세속에는 왕릉이라 전한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 무덤에 왕명을 붙인 기록은 조선시대 문인인 홍의영의 『왕산심릉기』에 처음 보이는데 무덤의 서쪽에 왕산사라는 절이 있어 절에 전해오는 『왕산사기』에 구형왕릉이라 기록되었다고 하였다. 
  일반무덤과는 달리 경사진 언덕의 중간에 총높이 7.15m의 기단식 석단을 이루고 있다. 앞에서 보면 7단이고 뒷면은 비탈진 경사를 그대로 이용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평지의 피라미드식 층단을 만든 것과는 차이가 있다. 무덤의 정상은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돌무덤의 중앙에는 ‘가락국양왕릉’이라고 쓰인 비석이 있고 그 앞에 석물들이 있는데 이것은 최근에 세운 시설물이다. 

  조선 정조 17년(1793)에는 왕산사에서 전해오던 나무상자에서 발견된 구형왕과 왕비의 초상화, 옷, 활 등을 보존하기 위해 ‘덕양전’이라는 전각을 짓고, 오늘날까지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향토유명음식먹기  메기매운탕집  ( 함양군 수동리 ) 

 양식장

 메기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