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396

신안 선도수선화축제 '2024 섬 수선화 축제'가 4월 7일까지 17일간 열리고 있다. '수선화 여인'이라고 불리는 현복순(91세) 할머니가 30년 전 선도에 정착한 뒤 집 주변에 심기 시작한 수선화가 지금 온통 섬전체가 노랗게 물들었다. . 사방을 둘러봐도 수를 헤아릴수 없을 정도로 많은 수선화가 활짝 꽃망울을 터트렸다. 2.7km에 이르는 수선화 재배단지 관람로를 따라 13ha의 면적에 2백만 송이의 수선화가 화려하게 피어 장관을 이루고 있다. 봄꽃 향기속에 노란색으로 물든 특별한 신안의 선도를 볼 수 있다. 2024. 4. 3.
2024 진해벚꽃명소 ~ 경화역 전국최대의 봄꽃 축제인 제62회진해군항제가 지난 23일부터 4월 1일까지 10일간 열리고 있다. 벚꽃명소로 유명해진 경화역은 진해구 경화동에 있는 작은 간이역으로 지금은 폐역이 된 상태로 벚꽃공원이 되었다 철길따라 쭉 펼쳐진 벚꽃이 터널을 이루어, 안민고개나 진해 여좌천 다리와 함께 벚꽃 사진명소로도 유명하다. 2024. 3. 30.
이천 백사산수유꽃축제 이천시 백사면은 수령이 100년이 넘는 산수유나무가 군락지를 형성하고 있는데, 특히 도립리는 마을 전체가 산수유나무로 뒤덮여 있어 초봄에는 노란 꽃과 가을엔 빨간 열매가 온 마을을 감싸는 전국 제일의 산수유 산지이다. 백사면 도립1리, 송말1.2리, 경사1.2리 등 5개마을이 위치하고 있는 50,000여평에 어린 묘목을 포함해 수령이 500년 가까이 된 것까지 1만7000여 그루의 산수유나무가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2024. 3. 19.
통영미륵산케이블카 2024. 1. 1.
보현산댐출렁다리&둘레길 2023년 8월30일 개통된 총 530m의 보현산댐출렁다리는 국내 2번째 규모이며, 주탑 사이 거리는 350m로 최장을 자랑 한다. 인근에 3.5㎞의 둘레길과 수변 광장, 부대시설 등이 조성됐다. 별을 형상화한 X자 모양의 주탑이 특징이다. 1. 일 시 : 2023. 12. 19 2. 거리 및 소요시간 ; 약 3.6Km 1시간 소요 3. 산행도 2023. 12. 20.
고성 송학동고분군~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등제 가야고분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제되었다. 가야는 기원 전후 무렵부터 562년까지 한반도 남부에서 번성한 작은 나라들의 연합체다. 경남 김해에 있었던 금관가야, 경북 고령 대가야, 경남 함안 아라가야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이번에 등재된 고분군은 7개로▲전북 남원 유곡리·두락리 고분군 ▲ 경북 고령 지산동고분군 ▲경남 김해 대성동고분군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군 ▲경남 창녕 교동·송현동고분군 ▲경남 고성 송학동고분군 ▲경남 합천 옥전 고분군 이다. 2023. 11. 12.
함안 입곡군립공원 단풍길 함안9경중 제3경 입곡군립공원의 단풍 크고 작은 산봉우리들이 저수지를 중심으로 협곡을 이루고 있는 입곡군립공원은 수려한 자연풍광과 형형색색의 바위, 기암절벽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신비로움을 더한다. 저수지를 가로지르는 출렁다리 산책로는 최고의 힐링코스이다. 사계절 아름답지만 특히 가을날 붉게 물든 단풍은 한폭의 그림같다.(함안군청) 2023. 11. 9.
내장사 단풍길 ~울긋불긋 알록달록 최고의 단풍명소 내장사일주문에서 내장산탐방지원센터에 이르는 단풍길은 내장산 단풍 풍경 중 단연 으뜸이다. 내장산 단풍은 아기 손처럼 잎이 작고 진한 붉은 빛을 띄어 ‘애기단풍’으로 불리기도 한다. 올해는 예년에 비해 단풍이 일주일 정도 늦을 모양이다. 아마도 11월8~11일경 단풍이 절정이 될 듯 하다 (22.11.04 내장산 산행을 하면서 찍은 단풍사진을 올려본다) 2023. 11. 4.
뿌리깊은 나무 ~ 의령의 노거수 1.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천년기념물 제 302호) 수령 약 600년 높이 24.5m 둘레 10.3m 이다. 예로부터 주민들이 마을어귀에 있는 현고수(느티나무)와 은행나무 주위를 돌며 마을의 풍요와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동신제를 지냈다. 세간리은행나무는 열매를 맺는 암나무로 모양이 아름답고 우람하여 가을 단풍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아직도 주렁주렁 달려있는 은행열매가 엄청나게 많다 2. 의령 세간리 현고수 ( (천년기념물 제 493호) 수령 약 600년 높이 15m 둘레 7m 에 이르는 느티나무이다. 현고수는 북을 매단 나무라는 뜻으로 임진왜란때 곽재우장군이 이 나무에 큰 북을 매달고 의병을 모아 훈련시켰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3. 의령 성황리 소나무 (천연기념물 제359호) 세간리 소나무는 마을 뒷산.. 2023. 10. 30.